|
 |
 |
|
창조론/철학과 정치
|
미국과 한국 창조론자 동향, Kopsa의 역할 |
 |
|
글쓴이 : kopsa
날짜 : 00-04-30 12:43
조회 : 5434
|
|
|
미국과 한국 창조론자 동향, Kopsa의 역할
1925년 테네시 주에서 반진화론법안이 통과되자 발생한 '스콥스 사건'에 대하여는 '스콥스 사건의 이해'라는 제목으로 게시하였다. 당시 테네시주를 시작으로 20개 주에서도 유사한 반진화론법안이 논의되었으나 아칸소주와 미시시피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과학자의 반격으로 패퇴하였다.
1. 스콥스 사건 이후의 진전
그러나 이런 논의 자체가 대중에게 진화론에 대한 의심을 심어 주었으며 결과적으로 특히 교과서 출판업자와 주 교육위원회가 어떤 방식으로든 진화론을 취급하는 것을 꺼리게 만들었다. 다시 말해서 이 재판 후에 오히려 생물 교과서에 진화론의 가르침이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던 것이 30년이 더 지난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발사를 계기로 과학교육의 재편을 가져와 진화론이 다시 공립교육의 주류로 등장했다.
이때 창조론자에게 1961년 모리스(Henry Morris)와 위트콤(John Whitcomb)의 '창세기 홍수(The Genesis Flood)'가 큰 힘이 되었다. 이 책이 가져온 파장을 몰아 창조론자는 다시 진화론과 창조론(Genesis story)에 균등한 교육 시간 할당과 진화론이 사실(fact)이 아닌 하나의 이론(theory)일 뿐이라고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1963년 테네시주에서 "인간과 이 세계의 기원과 창조는 ...과학적 사실이라고 말할 수 없다"는 반진화론 법안의 통과와 제소 그리고 1929년에 통과된 아칸소주의 반진화론 법안에 대한 제소로 나타났다. 앞서 스콥스 사건을 창조론자와 진화론자 사이의 '제1라운드 다툼'이라고 한다면 '제2라운드 다툼'이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이 다툼은 1968년 미 대법원의 아칸소주 법안의 위헌 판결로 최종 정리되었다. 미 대법원은 판결문에서 아칸소주 법안을 "성경적 기술과 갈등이 있어 보인다는 이유로 특이한 이론을 없애려는 기도"로 규정하였다. 이제 진화론을 학교 수업에서 배제하지 못하며 또한 종교적 뼈대를 가르치는 것이 위헌이라는 상황에서 창조론자들에게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것임은 말할 것이 없다.
이때 모리스(Henry Morris) 등은 창조론을 창조-과학(creation-science)으로 부각시키며 창조과학도 하나의 과학으로, 진화과학(evolution-science)과 동등한 비중으로 다뤄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이로부터 '제3라운드 다툼'이 벌어졌다. 그것은 1981년 아칸소주의 '균등 취급법(Balanced Treatment Act)' 즉 법안 590(Act 590)의 통과와 제소 그리고 1981년 루이지애나주의 '창조론 법안(Creationism Act)'의 통과와 제소가 관련된 것이다.
'아칸소 법안 590'은 1981년 리틀록의 연방 지방 판사 오버톤(William Overton)에 의해 위헌 판정이 나왔다. 루이지애나주의 창조법안은 1985년 연방판사에 의해 첫 번 위헌 판정이 나왔으나 상고 등 법 절차 과정에서 미 대법원으로 넘어갔다. 1987년 미 대법원이 창조과학을 과학이 아닌 종교로 규정하는 판결을 내리기까지 과학이 무엇인지, 정의하기 위한 많은 과학자들의 결집된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진화론 부정 시도는 계속되었다. 앨라배마주에서 교과서에 진화론을 확정된 사실이 아니라 '갈등적(controversial)' 이론으로 규정하도록 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루이지애나주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통과되었으나 1997년 지방 법원에서 창조론자의 패배로 끝나고 현재 주 대법원에 계류 중이다.
2000년 아래 설명할 오클라호마주에서 일어난 진전도 유사하다. 그리고 1999년 캔자스주에서 일어난 아래 설명할 창조론자의 새로운 전략은 주목할 만 하다. 이들은 이전과는 달리 학교 교육 과정을 설정하는 교육위원회에서 일을 도모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교육위원회의 문제를 일일이 법적으로 가리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전략을 '제4라운드 다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
2. 캔자스주에서 무슨 일이?
연합통신의 1999년 8월 12일자 워싱턴발 기사(미 캔자스주 교과과정서 진화론 폐기)는 "앞으로 미국 캔자스주는 유치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학교에서 진화론을 가르칠 수 없게 됐다"로 시작된다. 국민일보(위기 맞는 진화론..창조론 교육 본격화되나, 1999년 8월 17일 입력)도 유사하게 "미국 캔자스 교육 위원회가 주 관내의 모든 공립학교에서 진화론을 가르칠 수 없도록 판결"이라고 기사를 시작했다.
이들 기사로 보아 캔자스주에서 1920년대 테네시주와 마찬가지로 진화론 교육을 법적으로 금지했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점은 한겨레신문([미국교육] 창조론 '진화'-진화론 '퇴화'?, 1999년 8월 13일 입력)에서 비교적 정확히 보도하였다. 워싱턴/외신종합 기사에서 한겨레는 "진화론 부분을 교과서에서 삭제하라는 캔자스의 결정이 진화론에 대한 교육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시험에 나오지 않을 부분을 교육하거나 교육받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보도한 것이다.
정확히 말해서 캔자스주 교육위원회에서는 1999년 8월 11일 새로운 과학교육 지침(state's science education standards)을 6대 4 표결로 채택했는데, 이 지침에 의하면 종 내의 미세진화를 제외한 진화를 다루지 않도록 돼 있다. 진화론을 가르치는 것은 자유이지만 지침에 의존하는 주내의 학생교육 평가에는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지침은 우리 나라의 유치원에서 고등학교에까지 적용되는 것으로, 대학은 다르다. 예를 들어 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한 적성시험(SAT, Scholastic Aptitude Test)을 위해서는 진화론을 알아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이 과정을 좀 더 소개하면, 캔자스주 교육위원회(Kansas State Board of Education)는 본래 과학계 인사들이 기안한 '학교 커리큘럼 기준'을 채택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실제는 그 대신에 창조론자 윌리스(Tom Willis)가 비밀리에 기안한, 진화론이나 빅뱅에 대한 모든 참고자료를 삭제하고 대신 원리주의자의 자료를 넣은 안을 채택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래의 기준은 과학을 '자연적(natural)' 해석을 추구하는 것으로 규정하였으나 초정상적 해석을 포함할 수 있는 '논리적(logical)'이라는 용어로 바뀌었다. 또한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을 부정확하게 "기존의 유전암호(genetic code)에 새로운 정보를 보태지 않는다"고 규정하였다. 다시 말해서 진화론의 부정인 것이다.
3. 오클라호마주에서 무슨 일이?
캔자스주의 선례는 과학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다른 주에도 확산되는 분위기를 가져왔다. 4개 주에서 다양한 반진화론 안이 토의되어 결국 폐기되었으나 유사한 안이 아직 4개 주에 남아 있다고 한다. 이 중 어느 것이 교육위원회 수준인지 주 의회 수준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뒤에 언급할 것이나, 대선 주자들이 일반적으로 주나 지방의 교육위원회에서 창조론, 진화론 문제를 결정토록 하자고 한다는 점에서 앞서 말한 대로 '제4라운드 다툼'의 시작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런데 아주 최근 2000년 4월 5일 창조론 법안이 오클라호마주 하원을 통과하였다고 외신이 전했다. 이를 보도한 AP 통신은 그 법안 대로라면 오클라호마 공립학교에서 사용되는 과학교과서에 "인간의 생명은 우즈의 유일 신(one God of the universe)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돼 있다. 현재 이 법안은 오클라호마주 상-하원 공동 심의 위원회(joint House-Senate conference committee)에서 심의 중에 있다.
4. 최근의 미 창조론 경향
최근 미 창조론 캠프는 창조과학자(creation-scientist)와 유신론적 진화론자(theistic evolutionist)의 둘로 나누어졌다고 학자들은 말한다. 그 결정적인 계기는 1987년 루이지애나 균등-시간 법안이 미 대법원에서 뒤집힌 사건이다. 창조과학(creation-science)를 과학이 아닌 종교로 규정한 이 판결이 미친 영향은 크다. 젊은 지구론자(young-Earth theorists)는 더 이상 창조론을 과학으로 팔 수 없게 된 것이다.
대신에 많은 창조론자는 '지적 디자인(intelligent design)'을 선호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서 이들은 더 이상 모리스의 아이디어를 취하지 않고 신의 존재에 대한 증거를 찾아 인간 생명의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진화론에서 생명이란 물질의 산물이며 목적도 방향도 없는 길을 걷는다. 이 그림에서 신이란 완전히 배제된다. 정말로 인간이란 이런 존재란 말인가? 우리의 생명에는 어떤 의미가 있지 않는가? 과학으로 명백히 부정되는 창조과학을 주장하기보다는 유신론적 진화론이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그러나 어느 경우 건 창조론자의 의도를 과학자들은 경계한다. 유신론적 진화론만 해도 설혹 진화 자체를 부인하지 않지만 진화론을 유신론(theism) 대 자연주의(naturalism) 또는 창조론(creationism) 대 무신론(atheism)의 논쟁으로 몰고 가려고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논쟁은 원리주의자 또는 젊은 지구론자가 아닌 대다수의 기독교인에게 매력을 줄 것임에 틀림없다.
일면 진화론, 창조론 갈등은 정치적인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전체 국민의 믿음 경향에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는 누구나 알 것이지만 한국일보 기사([美 대선주자들] 창조론이냐 진화론이냐 놓고 고심; 1999/08/30 19:20)에 나타난 대선 주자들의 태도를 보자.
"특히 과학교육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진 민주당의 선두주자 앨 고어 부통령은 이에 대해 애매 모호한 입장을 취해 과학계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부시 지사는 "그는 이 문제가 주와 지방 교육위원회가 결정해야 할 사안으로 창조론과 진화론을 모두 가르쳐야 한다고 믿고 있다"고 하였다.
사실상 정치인들은 비록 과학 신봉자라고 할지라도 분명한 진화론 지지 의사를 밝히기보다는 표를 계산한다. 이런 양상은 우리 정치인에도 동일하게 작용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정치인은 국민의 의사에 따라 과학문제일지라도 결정을 내린다는 것이다. "과학이란 투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미국의 양상이 한국에도 적용될 것인지는 제일 아래 분석해 본다.
5. 국민의 과학과 종교 인식
뉴사이언티스트(New Scientist magazine, 22 April 2000)의 진화론, 창조론을 다룬 글에는 최근 미국의 통계가 나타나 있다. 미국인 95%가 하나님을 믿고 60%가 캔자스주의 결정에 찬성한다. 그리고 80%는 인간 기원에 대한 종교적 해석을 공립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고 본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두 가지 견해에 노출되고 스스로 결정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가장 많은 수(37%)가 과학에서 진화론만을 가르쳐야 한다고 보는 반면 창조론만을 가르쳐야 한다(16%), 진화론과 창조론을 동시에 가르쳐야 한다(13%)는 사람은 적었다. 또한 과학으로는 진화론만을 가르치고 창조론은 과학이 아닌 믿음으로서 토의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는 사람은 29%이다. 나머지는 둘을 가르치나 어떻게 가르칠지 확실하지 않다(4%)와 무응답(1%)이다.
95%가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 국가인 미국에서조차 3분의 2(66 %)가 진화론만을 과학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믿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나머지(29%)는 창조론을 가르쳐야 한다고 본다는 점을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지역적 통계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지역적 분포 특징이 몇 곳 주에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 문제는 한국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한국에는 미국과 같은 통계 자료가 없는 것 같으나 기독교 국가인 미국과는 다른 양상을 나타낼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로 최근 중앙일보에 보도된 영국의 통계를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영국 성직자 창조론 안 믿어' 1999/12/28 20:29).
정치인. 과학자. 교사 등 사회지도층 인사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 대부분은 성경의 내용을 곧이 곧 대로는 믿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이 같은 경향은 특히 과학자 그룹에서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심지어 성직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분석돼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영국성공회. 가톨릭. 개신교 감리교 등 1백3명의 성직자들 중 ''신이 6일 동안 세상을 창조했다'' 는 성경내용을 글자 그대로 믿는 사람은 단 3명 뿐이었다"고 한다.
6. 한국의 창조론자, 결론
흔히 한국의 창조론 세력은 미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강하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주축은 한국창조과학회(회장 송만석 연세대 교수)이다. 학회의 이름이 '창조론 연구회'가 아니라 '창조과학회'라고 되어 있듯이 이들의 인터넷 사이트에는 창세기 홍수 등 내용과 미국 창조과학회라는 이름으로 모리스(John D. Morris)와 기시(Duane T. Gish)의 ICR(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이 추천사이트로 연결돼 있다.
또한 한국창조과학회는 유신론적 진화론을 예를 들어 "자연적인 진화는 확실히 성경 기사와 모순된다. 성경은 하나님이 식물과 동물들을 그 종류대로 창조하셨다고 표현하지만, 진화론은 자연에 내재하는, 한 종으로부터 다른 종들로의 발전을 이끄는 자연의 힘을 지적한다"고 표현하여 이를 따르지 않음을 분명히 한다.
최근에 이러한 한국창조과학회의 활동은 눈부시다(?). 심지어 창조론을 미국식으로 정착시키겠다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있다. 국민일보 기사(초중고 생물교과서에 창조론 수록 적극 나선다, 2000/02/28 18:52)에 그런 것이 나타나 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이만신목사)와 한국창조과학회는 최근 한기총 회의실에서 모임을 갖고 초·중 고교 생물교과서에 가설에 불과한 진화론만 기술돼 있는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하고 교과서의 개정작업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우리나라 초·중·고교 생물 교과서에 창조론도 함께 기술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주장 관철을 위한 행동방침도 설정해 놓고 있다. "현재 국내 중·고교에서 교육부가 검인해 가르치는 생물교과서는 28종으로 모두 진화론만 기술하고 있다. 이 같은 이유는 교육부가 교과서 집필지침으로 창조론을 기술하지 못하도록 했기 때문이다"라고 하며 집필지침을 개정하는 방향, 나아가 아예 검인정 교과서의 폐지 방향을 세운 것 같다.
물론 진화론이 불완전하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해 "한기총과 창조과학회는 진화론의 문제점을 이미 완벽하게 분석해 놓았으며 빠르면 다음달 중에, 그러니까 2000년 3월에 1차로 교육부에 생물교과서 집필지침의 개정을 건의하고 대안을 제시할 계획이다"라고 돼 있다.
정말로 이들이 소위 진화론의 문제점을 과학적 시각에서 완전하게 분석한 것일까? 그런데 이것이 채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국 교회가 교과서 개편을 위한 기도운동을 벌일 것"이며 다음 단계로 "교육부가 진화론만 기술토록 한 것과, 중·고교에서 국가검인정교과서만 쓰도록 한 것이 헌법에 위배되는 것인지를 파악해 헌법재판소에 위헌소원을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하였다.
한국 개신교 신자수가 전체 인구의 25%라고 한다. 미국과 다르다. 그리고 한국은 한가지, 국가 총체적 교육 정책을 마련한다. 정치를 동원하여 교육정책을 움직이기에는 역부족이다. 국가검인정교과서-위헌소원은 검토 중이라고 하였으나 이것도 무리가 있는 계획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국창조과학회는 이를 모를 리가 없는데, 어째서 이러한 계획을 세우는 것일까?
이러한 계획을 적극적으로 밀고 나감으로써 일정부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고 본다. 우선 창조론자의 결집과 확장이다. 교육과 관련하여 미국 과학계몽 반경에서도 창조론의 법적, 정책적 채택에 관계없이 교사들의 믿음에 기초한 교육을 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를 지적한다. 또한 진화론에 불신을 심어 줄 수 있다. 이 불신이 단순한 진화론에 그칠 것인가? 미국 과학계몽 반경에서는 과학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창조과학 반경은 자신의 종교적 믿음을 교육정책에 반영할 수 있든, 아니든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은 분명히 말해 간단하지 않다. 당장 창조론자의 프로파간다를 억제하기 위한 논쟁과 계몽이 필요하다. 이를 포함하여 창조론과 관련된 총체적 대책에는 높은 학술적 능력과 치밀한 전략이 바탕이 돼야 한다.
kopsa는 이런 방향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미국의 주요 사건, 제1 라운드 다툼에 이은 제2라운드. 제3라운드 타툼 등은 나중에 자세히 정리해서 게시하려고 한다. 그런 분석이 한국 창조과학의 문제를 파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