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과학/철학
초심리학/잠재능력
UFO/신물리학
오컬티즘/미스터리

과학적, 비과학적 의학
동서양 대체의학

창조론/과학적 사실성
창조론/철학과 정치

스켑틱스/기타 주제
KOPSA 박물관

 

대중매체 모니터링
질문과 답

토론방법
토론사례

연구회원 게시판
연구위원 게시판

 

동서양 대체의학
   
  치과 아말감과 분자교정의학에 대한 오해(04/05/23 추가)
  글쓴이 : kopsa     날짜 : 01-03-11 09:09     조회 : 7635    
치과 아말감과 분자교정의학에 대한 오해(04/05/23 추가) 

=================
"영원한 아말감 전쟁의 종식"

2004년 5월 23일 추가합니다. 아래 2001년 3월 11일 게시한 글은 "영원한
아말감 전쟁의 종식"이라는 칼럼 글과 관련된 것입니다. 그 글을 읽은 어
느 치과 의사가 보낸 메일을 보고 적은 것입니다. 그는 칼럼 글을, 치과 아
말감의 부작용을(주변에서 말하는 온갖 것들이 있습니다) 문제라고 생각하
는 자신의 견해를 지지한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그 칼럼 글은 "과학의
상보성 원리"를 작성하며 삭제했는데 이번에 아래 첨부 1로 첨부했습니다.
마지막 대목입니다.

"최근까지 아말감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확인해 주고 있지만 문제가
전혀 없지는 않아 보인다. 적어도 아말감 충전이나 제거 그리고 치아 손상
시, 수은이 흡수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수은 독성에 예민한 어린이나 임
산부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이제 대체 충전물로 바꾸어 전쟁을 영원히
종식시켜야 하지 않을까?"

현재 미국에서는 치과 아말감 사용을 전면 중지하는 소위
WATSON/BURTON 법안(H. R. 1680)이 의회에 상정되어 논쟁이 벌어지
고 있습니다. 곧 결정이 날 것입니다. 이 법안은 2008년 1월 1일부터 효력
을 발생합니다. 그리고 법안은 그 이전 2004년 12월 31일부터 시행할 조처
를 두었습니다. 치과 아말감이 "독성이 큰 수은을 50% 정도 함유하고 있
으며 18세 이하 어린이, 임산부, 수유 여성에게 사용돼서는 안 된다"는 경
고를 부착토록 한다는 것입니다. 
 
이 법안은 이해가 가능합니다. 이미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2003년 3월 9일
부터 치과 의원에 치과 아말감에 의해 출생 결함 등 문제가 있는 수은에
노출될 위험성이 있다는 경고문을 부착토록 됐다고 합니다. 그리고 캐나다
에서는 치과 아말감에 대해 "수은에 알레르기인 사람과 신 기능이 손상된
사람은 피해야 하며, 가능하면 임산부와 어린이가 사용을 피해야 한다"고
경고를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미 FDA도 캐나다의 치과 아말감에 대한 이
경고를 2002년 12월 31일 소비자 공지에 넣었습니다. 미 FDA의 소비자 공
지는 첨부 2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첨부 1

영원한 아말감 전쟁의 종식
 
알프레트 슈토크(1876-1946)는 붕소 화학의 역사에 남아 있는 독일 화학자
이다. 그는 밀폐된 실험실에서 수은 통을 사용하여 기체를 포획하는 등 여
러 곳에서 수은에 노출됐다. 이유를 모른 채 두통, 현기증, 기억감퇴, 설사
로 고통받기 시작해서 그의 병은 만성 호흡기 질병과 청각 장애로 발전됐
다. 온갖 치료법을 찾았으나 허사였다. 1923년 거의 기억 상실이 왔을 때에
야 의사로부터 자신의 병이 수은 중독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슈토크는 그후 20년 간 "내 생애의 대부분을 병들게 한 수은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많은 시간을 수은 연구에 몰두했다. 그는 예민한 분석법을
고안하여 토양, 물, 굴뚝 연기 등 환경 물질 속의 수은의 함량을 측정하였
고 스스로 실험 동물이 되어 수은 화합물의 독 증상도 기록했다. 특히 그
는 수은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노력을 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의 이름은
아말감 전쟁과 함께 남아 있다. 

1830년대 미국 치과에는 프랑스로부터 은 아말감(은과 수은의 합금)이 도
입됐다. 은 동전을 잘게 깎아 수은을 혼합하여 죽상으로 만든 다음에 압착
하여 수은을 제거, 치아 공간에 넣어 굳히는 방법이었다. 미국 치과의사협
회는 수은 독성 등 문제를 들어 회원들의 아말감 사용을 금지시켰다. 이로
부터 20여 년 동안 벌어진 아말감 찬성자와 반대자 사이의 다툼을 제1차 
아말감 전쟁이라고 부른다. 이 전쟁은 아말감 찬성자의 승리로 종결됐는데,
부산물로 향상된 아말감의 제조법이 나왔다. 

그러던 것이 1926년 슈토크는 아말감 사용자의 오줌 속 수은의 농도를 제
시하며 수은 독성 문제를 들고 나왔다. 슈토크의 주장에 과학성이 부족했
다는 평가가 나왔으나 그가 치과 의사에게 "대부분 마요네즈 만드는 솜씨
가 서투르다"라고 하며 격렬한 반응을 보인 배경에는 당시 아말감의 제조
및 시술에 문제가 없지 않아 보인다. 이때 미국 치과의사협회는 아말감의
사용을 고수했는데, 1932년 최초로 은 아말감의 표준 규격이 제정되는 등
제2차 아말감 전쟁의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후 50여 년 간 독성학의 발전과 안전 기준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치과 아
말감 문제는 다시 거론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1990년 수은이 뇌 등 장
기로 이전됐다는 아말감으로 충전한 양 치아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자 학자
들 사이에 논쟁이 일어났다. 이에 맞추어 미국 CBS는 '당신 입 속의 독'이
라는 프로그램에서 수은 독성을 문제삼는 측을 내세워 아말감 문제를 집중
적으로 다뤘다.

이로부터 시작된 제3차 아말감 전쟁을 계기로 미국을 위시한 여러 국가에
서 아말감의 문제를 검토했다는 점에서 성과가 없지는 않았다. 그 결과 최
근까지 아말감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확인해 주고 있지만 문제가 전혀
없지는 않아 보인다. 적어도 아말감 충전이나 제거 그리고 치아 손상 시,
수은이 흡수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수은 독성에 예민한 어린이나 임산부
의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이제 대체 충전물로 바꾸어 전쟁을 영원히 종식
시켜야 하지 않을까?

.......................................
*첨부 2

Updated 12/31/2002
FDA Consumer Update: Dental Amalgams

FDA and other organizations of the U.S. Public Health Service
(USPHS) continue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amalgams used in dental
restorations (fillings). However, no valid scientific evidence has shown
that amalgams cause harm to patients with dental restorations, except
in the rare case of allergy.

The safety of dental amalgams has been reviewed extensively over the
past ten year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1994,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ealth officials concluded there is no
scientific evidence that dental amalgam presents a significant health
hazard to the general population, although a small number of patients
had mild, temporary allergic reaction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its Consensus Statement on Dental Amalgam reached a
similar conclusion. They wrote: "Amalgam restorations are safe and
cost-effective…Components in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including
amalgam, may, in rare instances, result in local side-effects or allergic
reactions. The risk of adverse side-effects is very low for all types of
restorative materials, including amalgam and all resin-based materials.”
Similar conclusions were reached by the USPHS, the European
Commission, the National Board of Health and Welfare in Sweden, the
New Zealand Ministry of Health, Health Canada and the province of
Quebec.

In January 1993, the USPHS published a broad scientific report about
the safety and use of dental amalgam and other materials commonly
used to fill dental cavities. USPHS reaffirmed these conclusions in 1995
and 1997. Since then,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d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have continued to study the issue. The
National Institute of Dental & Craniofacial Research at NIH has also
provided money to study the safety of dental amalgams and to develop
non-mercury alternatives. This effort includes research and clinical
studies of dental amalgam use in children. These studies are ongoing
and will require several years of follow-up in order to detect any subtle
and long-range health effects.

Also, USPHS scientists analyzed approximately 175 peer-reviewed
studies submitted in support of three citizen petitions received by FDA
after the 1993 report. The USPHS concluded that data in these studies
did not support claims that individuals with dental amalgam restorations
will experience problems, including neurologic, renal or developmental
effects, except for rare allergic or hypersensitivity reactions.

Although there is international agreement that the scientific data do not
confirm the presence of a significant health hazard, several countries
restrict the use of dental amalgams or have recommended limitations on
their use. For example, Health Canada recommended that dental
amalgam be avoided in people allergic to mercury or with impaired
kidney function; if possible, to avoid its placement or removal in the
teeth of pregnant women; and to consider the use of alternatives in the
primary teeth of children. Some manufacturers now include these
"contraindications" (against using) in their labeling of dental amalgams
sold in those countries. If a manufacturer wishes to make a similar
labeling change in its dental amalgam sold in the United States, FDA
will require the manufacturer to submit a new marketing application
with data supporting the change.

FDA is examining its regulation of dental amalgam alloy, and
pre-encapsulated dental amalgam. To reduce possible allergic reactions
from restorative materials, FDA is proposing in labeling guidance that
the product's labeling list the ingredients in descending order of weight
by percentage and include lot numbers, appropriate warnings and
precautions, handling instructions and expiration dating. The labeling
guidance will be most useful with new restorative materials.

While research, regulatory changes, and educational efforts are
underway, the use of dental amalgams in the U.S. is declining. Pediatric
dentists, in particular, are using resin (plastic) FDA cleared
tooth-colored materials that are bonded to the tooth. They may release
fluoride and are mercury-free. Other reasons for the decline in amalgam
use include increasing use of sealants and community fluoridation, an
expanding selection of fluoride-containing dental products, improved oral
hygiene practices, and greater access to dental care. With the
improvement of alternative restorative materials over the past few
years, dentists increased their use of these products.

The USPHS will continue to gather data about possible risks of dental
amalgams and other restorative products and to pursue new methods of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As an important part of this plan,
USPHS will continue working with the dental profession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delivery of oral healthcare based on valid scientific
research.

=====================

강건일 박사는 한겨레21에 의학 관련 내용을 몇 차례 다룬 적이 있습니다.
사실 강박사의 전공이 의약분야이기 때문에 쓸 내용은 상당히 있지만 되도
록 피하고 과학관련 주제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의학관련 칼럼이
게재될 때마다 그 내용을 오해하는 분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아말감 글은 처음 수은 독성의 문제를 다루려고 하다가 초점을 바꾼 것입
니다. 그래서 아말감 전쟁의 전말을 소개하고 결론으로 이제 좋은 소재도
있는 만큼 아말감에서 떠나야 할 때가 됐다고 말한 것입니다.

최근 아말감 전쟁의 한 축은 아말감의 문제를 과장하는 소수의 치과의사에
게 있습니다. 이들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방법으로 아말감 충전자의 수
은방출을 측정하고 그것을 다양한 질병과 연관시킵니다. 이것은 전형적인
의사과학에 속한 것이며 quackwatch에도 잘 분석돼 있습니다.

그런데 강박사의 칼럼 글이 이런 의사과학을 지지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
시는 분이 있습니다. 아래 강박사가 받은 메일을 소개합니다. 누가 보냈는
지는 밝히지 않기 위해 생략 표시를 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분자교정의학에 관해서도 메일을 받았는데, 아시겠지만 강
박사는 라이너스 폴링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의 일생과 더불어 그에게
불명예를 가져다준 분자교정의학을 소개할 목적이었습니다. 암환자에 대한 
비타민 C 대량 요법은 부정된 것이 아니라 더 시험이 필요하다는 내용입
니다.

강박사는 실제 분자교정요법의 지지지가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는 정확히
모릅니다. 생체내 물질을 투여한다는 의미에서 비타민, 광물질, 미네랄, 아
미노산 등등 그런 것으로 병을 고친다고 할 것입니다. 이미 비타민 C 정맥
요법을 한국에서 시험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시험했다는 것이 실제 효과가
있었는지 와는 다른 문제입니다.   

..................................
**치과 아말감에 관한 메일   

강 건일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 오늘 아침 우연히 한겨레 21 제 338호 p 95에서 '아말
감 전쟁의 영원한 종식을....'이란 제하의 글을 읽고 이 편지를 올리게 되었
읍니다. 선생님의 글도 재미(?) 있는 내용이었읍니다만, 사실은 이 아말감
독성 문제로 오래 전부터 고민해 온 저에게 선생님의 글을 읽고 나니 큰
우군을 만난 듯 합니다.
 
저는 자연 과학계의 어떤 분야에서 아말감 독성 문제가 제기되었다는 글을
선생님의 글을 통해서 처음 접하게 되었읍니다만, 치과에서의 아말감 중독
에 관한 문제는 이미 수 년 전부터 미국의 치과 의사들이나 혹은 그들이
전하는 문헌을 통해서 알고는 있었읍니다. 그리고 스웨덴에서는 15세 미만
의 어린이와 임산부에게는 '95(?)부터 아말감 사용을 법으로 금지시켰다는
얘기도 들은 적이 있읍니다. 그러나 그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탓으로
혼자서 속으로만 꿍꿍 앓아 왔읍니다. 인식이 부족하다는 말은 입안에 박
힌 아말감이 과연 그 환자에게 어떻게 중독을 일으키는 지를 검사할 방법
을 몰랐다는 얘기입니다.
 
지금은 그것을 검사하는 방법도 알고 또 제독(detoxification)하는 방법도
알아 원하는 사람에게는 시술을 해 주고있읍니다만 현대 문명의 역작용을
한 개인이 해결하기에는 너무나 벅찬 일임을 통감하고 있읍니다. 지난 3월
이 아말감 중독 검사법을 미국에서 배울 때 30대 중반의 어느 재미 교포를
만난 적이 있읍니다. 한국 말이 서투른 그녀는 자신이 아말감 중독증으로
오래 동안 고통을 앓아오다 결국 그 원인이 아말감 때문이라는 것을 알고
치료를 받아 호전이 되어 지금 이 늦은 나이에도 어느 대학의 통합 의학
(integrated medicine)-일종의 대체 의료를 공부하게 되어 이런 모임에 참
석하게 되었다고 자기 소개를 하였읍니다. .....(*)

..............................
**분자교정의학 메일 
 
강건일 교수님께,

안녕하십니까?
뵌 적은 없을 듯 하지만 혹시 학회에서 모르고 지나친 적을 있을지도 모르
겠습니다. ..... 즉, 분자교정의학의 방법인 분자교정영양학(메가비타민 요법)
을 약국에 보급하고저 노력을 하는.... 물론 현재 저희 나라의 사정상 제대
로된 제품이 나올 수는 없지만, 되도록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질병을 이겨내는 힘을 기를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임하
고 있습니다.

한겨레 21 348호 93페이지 선생님의 글을 읽었습니다. 비타민 C 대량정맥
주사요법은 지난해 삼성병원 암종양내과 박찬형 박사님을 통해 우리나리에
서도 외롭게 시행되고 있음을 알았습니다. 별다른 뜻이 있는 것은 아니고
다만, 좋은 모임, 좋은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이 글
을 감히 올렸습니다. (*)
...................................